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instagram clone coding

5i clonecoding KTP

by 수쨔앙 2022. 10. 6.

1. 프로젝트 주제

장고를 이용한 인스타그램의 기능 구현

 

2. 구현한 기능

  • 로그인 / 회원가입
  • 게시글 작성 / 수정 / 삭제
  • hash tag
  • 댓글 등록 / 삭제
  • 게시글 / 댓글 보여주기
  • 프로필사진 편집
  • 추천친구 보여주기 ( 5명 까지만 )
  • 팔로우 / 팔로우 취소
  • 서버 배포(http://sparta-ldy.shop/tweet/)

 

3. 느낀점

  • 김현준 :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초반에 내가 데스크탑을 바꾸고 여러 가지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오류가 발생했고 뒤늦게 시작하면서 장고 구현 과정에서 팀원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래도 프론트 영역에서라도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했고 장원님과 함께 최대한 수치를 조정하며 노력했다. 하지만 프론트 하면서 장고작업에 참여 못해 자괴감이 들었다. 빨리복습 마치고 머신러닝부터는 내가 주도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자
  • 박수인 : 장고프로젝트 시작 하기 전에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었는데 협업을 통해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내가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를 더 잘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쓰였던 기능들 중에 내가 구현하지 않은 부분들도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고, 또한 부족한 부분을 더 공부하고 복습을 해서 다음 프로젝트 전까지 장고 기본기를 완벽하게 다져놓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서장원 : 첫 정식 프로젝트였어서 긴장도 많이 했고 내 역활을 할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많이 했는데 기술적으로 많이 부족해서 역할에 변화가 있기도 했고 백엔드보다는 css나 html과 같은 프런트 영역을 많이 만져서 스스로 아쉽고 아까웠지만 한편으로는 기한안에 첫 정식 프로젝트를 팀원들과 같이 완성하여 뿌듯하였다.
  • 이동영 : 깃사용도 처음에는 조금 어렵고 버벅거려 깃허브를 이용하다가 레포지토리도 새롭게 많이 파고 가지고있던 파일을 압축하여 보내기도 하고 코드만 복사하여 보내기도 했었는데 계속 깃허브를 쓰려고 노력하다보니 익숙해져서 그래도 활용을 할수 있게 된거같아서 이렇게 계속 활용하여 더 잘쓰도록 할것입니다. 다른 기능을 위해서 꼭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우선순위를 정해서 팀원들끼리 모여 빠르게 진행을 한 뒤 각자 역할을 분담하여 시작하면 좋을 것 같았습니다. 자기가 코드를 짜지 않았거나 모르고 사용한 코드를 그대로 모르고 넘어가는게 아니라 이야기를 통해 알아가는게 좋을 것 같았습니다.
  • 정현주 : 막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어려운 부분이 매우매우 많았고 스스로 코드를 작성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발표도 끝났으니 주말을 이용해서 제가 미처 이해하지 못한 코드를 다시 공부해보며 이번 프로젝트에 작성된 코드는 모두 이해할수 있도록 공부할 것입니다. 팀원들이 없었다면 무사히 끝내지 못했을 것 같고 다들 너무 고생해서 만든 프로젝트인 만큼 아쉬운 점도 있지만 칭찬 받은 부분도 많이 있어서 뿌듯하기도 했던 시간이었습니다. 기본기를 다지는 프로젝트였던 만큼 다시한번 기본기를 완벽히 복습해보는 시간을 꼭 갖도록 할 것입니다!

 

4. Keep

  • 프로젝트를 하는 동안 원활한 의사소통을 한 것
  • 기한 내에 필수기능을 모두 구현한 것
  • 다들 모르고 잘못하더라도 무엇이든지 하려고 노력하는 부분(모두가 함께 참여한 것)
  • Git을 통한 협업을 한 것
  • 안되는 부분을 구글링과 튜터님을 통해 끝까지 해결한 것

 

5. Problem

1. 문제점

  • git commit 메세지 제대로 작성하지 않은것
  • README.md 작성 안한것
  • S.A.가 잘 짜여지지않고, 지켜지지 않은 것
  • naming convention 잘 지키지 않은 것
  • 프론트부분과 백엔드부분을 따로 나눠서 작업한 것
  • 자기가 하지않은 부분을 잘 모르는것

2. 해결방안

 

6. Try

  • 코드리뷰 해보기
  • 구현 못한 부분 추가 구현 해보기
  • README.md 작성해보기
  • 언제 어떤기능을 만들었는지 기록하기
728x90

댓글